S3를 만들 시 퍼블릭 액세스 차단 설정을 할 수 있다.
막아 놓으면 직접 적으로 S3 객체 url로 접근이 불 가능 하다.
이때 필요한게 CloudFront 이다.
CloudFront**는 CDN이다.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은 지리적으로 분산된 서버들을 연결한 네트워크로서 웹 컨텐츠의 복사본을 사용자에 가까운 곳에 두거나 동적 컨텐츠(예: 라이브 비디오 피드)의 전달을 활성화하여 웹 성능 및 속도를 향상할 수 있게 합니다.
내가 원하는 파일이 있는 S3가 한국 리전에 있다면, 내가 미국에 있다고 가정하에 한국 리전에 있는 S3로 접근 시엔
다운받는 속도가 느리다. 만약 미국 리전에 CDN이 있다면, 미국 리전 CDN에서 원본 파일을 캐싱 하여
빠르게 다운 받을 수 있다. 또한 캐시로 저장되어있어 재사용에 용이하다.
다시 본론으로 가자면
이렇게 s3와 연결한 cloudfront를 만들었다.
Cloudfront의 도메인이 만들어 졌다
이제 s3내의 객체에 접근 시
cloudfront의 도메인 이름 + 객체 파일경로로 접근이 가능하다.
나의 경우 영상을 컨버팅하여 s3내의 mpd파일에 접근을 시도 해보았다.
아까 s3에 직접 접근 시에는 에러가 떴었는데 cloudfront를 통해 접근을 하니 영상 재생이 잘 된다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loudFront 캐시 비활성화 정책 설정 (1) | 2024.01.10 |
---|---|
aws cli를 통해 s3 버킷에 있는 객체 다운로드 받기 (0) | 2023.12.05 |
The maximum number of addresses has been reached. (탄력적 IP 할당 안 되는 오류) (0) | 2023.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