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처음에 특정 사이트 링크를 타고 들어갔는데 저렇게 뜨면 일단 불법 토토 사이트에 들어온 기분이 듦 ㄹㅇ. 정보가 탈취당할거같은 느낌이 온다.(진짜긴함) 1. http와 https 차이점 요약: HTTP와 HTTPS HTTP HTTPS 의미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기본 프로토콜 HTTP/1과 HTTP/2는 TCP/IP를 사용합니다. HTTP/3은 QUIC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HTTP 요청 및 응답을 추가로 암호화하기 위해 SSL/TLS와 함께 HTTP/2 사용 포트 기본 포트 80 기본 포트 443 용도 이전 텍스트 기반 웹 사이트 모든 최신 웹 사이트 보안 추가 보안 기능 없음 퍼블릭 키 암호화에 SSL 인..
도커라는 것의 존재는 알았지만 처음 개념을 알았을 땐 쓰는 이유를 봐도 이해를 하지 못했다. 하지만 개발서버, qa서버, 운영서버 그리고 오토스케일링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면서 느낀게 각 서버마다 jdk 설치도 해야하고 배포를 codedeploy로 하기 때문에 code deploy-agent 를 각 서버마다 설치 해줘야한다. 귀찮다. 서버를 하나만 띄웠을 때는 몰랐으나 매우 귀찮다. 그래서 사람들이 도커 이미지 하나만 배포해서 끝내고싶었나보다 테스트용으로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1. DockerFile 만들기 dependency 로 Spring web만 추가 Spring boot 3.x 버전, JDK는 17 실행 테스트를 위해 간단한 api를 만들었다. 프로젝트 내부 루트경로에 DockerFile 이라고 파..
상황 service 프로젝트가 web-common(공통, 자바프로젝트)를 의존하고 있다. Jenkins로 빌드 후 실행을 하려면 web-common,service가 Jenkins 서버 안의 같은 디렉토리에 있는 상태로 빌드를 해 Jar 파일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 해결 순서 : 1. web-common 을 Jenkins로 깃랩에서 소스 변화가 생길 시 새로 받아 빌드하여 젠킨스 서버에 둔다. 2. web-common과 service 프로젝트를 연결한다. 3. web-common에서 변화가 생겨 새로 빌드가 될 시 service 프로젝트 또한 젠킨스에서 깃랩 저장소의 service를 새로 pull 해 빌드를 하게 한다. - 1. web-common Jenkins Job 설정 - 깃랩 저장소 연결 - 빌드 ..
비용 문제로 인스턴스를 중지 했다가 스펙을 바꾼 적이 있었는데 그 이후로 빌드를 안해 봐서 정상작동을 하는 지 확인을 안했었다. 어느날 배포 반영이 안된다는 말을 듣고 개발 서버 인스턴스를 들어가보니 보안 그룹으로 ssh통신(22번 포트)가 예전 젠킨스 IP로만 허용이 되어있었다. 이런 똥멍청이가 또 있나 싶다. 그래서 인스턴스 보안 그룹 설정을 현재 젠킨스 인스턴스 ip로 바꾸니 빌드가 잘 반영 된다.
이 글을 보게 된 다면 좋은 글이 있어 이 링크도 본인 진행도에 맞게 같이 켜 두는걸 권장함. 참고 : https://velog.io/@hmyanghm/AWS-EC2%EC%97%90-Jenkins-%EC%84%9C%EB%B2%84-%EA%B5%AC%EC%B6%95 📙 AWS EC2에 Jenkins 서버 구축 AWS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EC2에 Jenkins 서버를 구축한 후 GitLab Webhook까지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서 두고두고 참고하려고 작성하는 글 😉 velog.io 참고 : https://velog.io/@hmyanghm/Jenkins%EC%97%90-GitLab-%EC%A0%80%EC%9E%A5%EC%86%8C-%EC%97%B0%EB%8F%99 📒 Jenkins에 GitLab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