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시리즈에서 백엔드를 구현 했다면 #9에선 프론트에서 연동을 해보았다.
vue DatePicker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만들었다.
유저 회원가입과는 다르게 날짜 포맷을 YYYYmmDD로 하였다. 이전 방식은 나중에 자르고 그래야하니 두 번 일하는것 같았다.
화면과는 다르게 여기서 문제가 생겼었다 처음엔. 나는 2024년6월12일 달력을 눌렀는데 밑에는 20240611이 뜨는 것이였다.
이전 회사에서 aws 인프라를 하면서 UTC 타임존 때문에 먼가 설정한다고 삽질 했던 기억이 스쳐지나갔다..
그렇다 여기서 시간 값을
//return date.toISOString().substring(0,10); Timezone 이슈
이렇게 받아왔는데 이러면 Timezone이 UTC 기준으로 날짜 값을 반환 한다.
해당 메서드를 안 쓰고 일일히 넣는 방향으로 수정 하니 위와 같이 정상적인 날짜가 나왔다.
서버에서도 공공데이터센터 OpenAPI와 통신이 잘 됐다.
조회 값을 보니 아빠 가게가 그래도 불법은 아니긴하네
끝
'Spring >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차 신청, 관리 시스템 만들기 #11 인프라 구축 (0) | 2024.09.06 |
---|---|
연차 신청, 관리 시스템 만들기 #10 로그인에 캐시를 써보자 (0) | 2024.07.30 |
연차 신청, 관리 시스템 만들기 #8 공공데이터포털 국세청_사업자등록정보 진위확인 및 상태조회 서비스 OpenAPI 이용하기 (2) | 2024.06.11 |
연차 신청, 관리 시스템 만들기 #7 로그아웃 구현 (1) | 2024.05.29 |
연차 신청, 관리 시스템 만들기 #6 백엔드의 프론트엔드 삽질(Vue3) (0) | 2024.05.22 |